검색결과 리스트
글
1.네이티브 앱

UI 등 앱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요소가 패키지화 되어있고, 편리한 개발툴 제공 및 라이브러리나 함수들이 내장되어있어 개발이 쉽고 유지가 쉽다.
가령 애플의 iOS는 개발언어가 Objective-C이며, (안드로이드의 경우는 JAVA) 개발언어를 완벽히 모르더라도 Xcode라는 개발자툴을 제공함으로서 어느정도의 간단한 앱은 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단점으로는 특정 플랫폼에서만 동작하며 앱스토어를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업데이트가 느린 단점이 있다.
또한 안드로이드 같은 경우는 버전 별, 제조사 별 단편화가 심각하기 때문에 (가령 제품마다 다른 해상도) 모든 제품을 지원할 수 없다.

웹사이트 개발방식과 거의 동일하여 별도의 개발방식이 필요하지 않고 인터넷 (또는 온라인 네트워크)에 접속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모바일 플랫폼으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하지만 모바일 플랫폼에서 작동되는 API를 통한 특화된 다양한 기능들의 활용이 불가능 하다. 이를 어느정도 해결하기 위해 Sencha Touch (센차 터치)나 jQuary Mobile (제이쿼리 모바일) 등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지만 어느정도 극복 가능한 상황이지만 한계가 있다.
3.웹 앱

4.하이브리드 앱

장단점 모두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 (웹 앱)의 중간적인 앱이며 UI나 내부구조, 하드웨어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전용 API로 앱 자체를 구성하고 컨텐츠는 웹으로 구성하여 앱처럼 실행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앱스토어를 통해 배포 되어야 하나 컨텐츠 등의 업데이트 등은 재배포가 필요하지 않는 등의 장점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단점이 더 많다.
주변의 앱 개발자들의 이야기도 그렇고, 하이브리드 앱에 대해서 회의적이거나 반대적인 입장을 취하는 개발자들도 많은편이며 개발의 용이성이나 운영상의 입장에서 좋은평가를 받지 못하기도 한다.
(현재 페이스북은 퍼포먼스상의 문제로 네이티브 앱으로 교체되었다.)
-----------------------------------------------------------------------------
여담이지만 모바일 라이브러리중 흔히 쓰이는 sencha touch와 jQuery Mobile이 있다.
두 라이브러리는 비슷하지만 지향점은 다르다고 한다.
jQuery Mobile의 경우는 모바일 웹 혹은 웹 앱 쪽에 좀더 치중을 두는 반면,
Sencha 사의 경우는 하이브리드 앱 쪽에 좀더 치중을 두어 개발한다고 한다.
어떤 것을 이용하느냐는 개발자의 몫이지만 그 결과물은 각 회사의 지향점에
맞춰서 나오지 않을까?
'Mobile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더링 사이즈 조절하기.(meta viewport 태그) (0) | 2012.12.18 |
---|---|
아이폰 홈버튼에 추가했을 때 아이콘 이용하기.(웹앱) (0) | 2012.12.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