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필자는 웹에 '퍼블리셔'로 입문해서 지금은 '프론트엔드 영역'에서 개발을 하고 있다.
웹표준, 이 단어는 해외에서는 2000년대 중초반부터, 국내에서는 2000년대 후반 되어야 비로소 화두가 되기시작한 단어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웹개발은 해외의 경향을 짧게는 2-3년, 길게는 4-5년 정도 우리나라가 뒤서고 있다.)
지금이야 정말 개나소나 웹표준 웹표준 하지만,
초기 웹표준에 대한 개발자들의 반응은 이러했다.
"그런거 왜지키냐, 이대로 쓰면 되지않느냐"
"어짜피 인터넷 익스플로러만 쓴다"
이러한 과도기에서도 굳굳히 웹표준화 운동, 웹 접근성 향상 운동을 참여해온 사람들은 매우 존경스럽다.
필자도 퍼블리셔 했었고,(지금도 하지만) 웹표준, 웹접근성 모두 공부했지만, 이들은 어떤 "전문적"지식이 아니다.
한번 책펴서 보고, 마스터 하려면 '마스터'도 어느정도 가능하다.(HTML, CSS가 그렇다.)
대단한 무언가도 없고,
그만큼 사실상 전문성도 없고, 진입장벽도 낮은게 웹퍼블리셔 과정이다. (그래서 학원도 많다.)
하지만 웹퍼블리셔들은 자신들의 직군이 전문성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아 한다.
자신의 입지가 떨어지기를 원하는 사람은 없으니까.
그런데, 요즘은 이 웹표준, 웹 접근성을 소위 '퍼블리셔'라 불리는 웹 개발자들이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는데 이용하고 있는 것 같다.
퍼블리셔들은 웹표준과 웹접근성이 엄청난 전문성을 지니는 것처럼 이야기 하면서,
모르는 사람은 '문외한' 취급을 한다던지, '상식이 통하지 않는다'식의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여담이지만 여전히 국내에서는 '정말 별볼일없는' 웹표준, 웹 접근성(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위에 써 놓았듯이
대단한 무언가가 있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에 집착하는 동안, 해외에서는
HTML5의 플랫폼화, 및 웹의 어플리케이션화가 대세가 되고 있다. 국내에 이식되는데는 몇년이나 걸릴지는 모르지만.
퍼블리셔들이 자신의 기득권을 위해 위선을 행한다.
개발 영역에 종사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입을 모아 이야기 하는 대표적인
이유는 무언가 만들어 진다는 것이 뿌듯함을 느낀다는 것이다.(필자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위에 언급한 퍼블리셔의 대다수는,"웹접근성"을 지키며 장애인도 웹을 자유로이 이용하는
모두가평등한 웹을만드는것이 뿌듯하고, 그렇게 하는 장애인의 모습을 상상하며 즐거워하고,
웹에 종사하고, 그게 웹개발의 목표라고 한다. 그리고 그러한 생각을 강요하기도 한다.
물론 그럴수도 있다. 그러한 도덕적으로 훌륭한 사람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장애인 자원봉사자의 수나, 어떤 장애인들을 위해 일하는 이타적인 사람들의 비율과
퍼블리셔 중에 그리 말하는 사람의 비율을 비교해 볼 때, 이는 이치에 맞지 않는다.
실제로, "장애인 차별 금지법 통과" 로 인해 웹 접근성을 강제하도록 의무화 되었는데,
이는 이타적인, 도덕적인 어떠한 것을 떠나서,
사실상 업무적인 스트레스의 증가를 말한다. (주변 게임 개발자중에 이 조항들이 웹이 아닌
게임으로까지 영향을 미친다면 게임 개발을 그만두겠다는 개발자도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해 퍼블리셔 대부분은 긍정적이고, 이에 대해 환영하는 반응을 보였다. 과연 장애인들의 권리가 증진되어 보였던 긍정일까,
아니면 자신들의 가치가 올라가고 일감이 늘어서 보였던 긍정이었을까?
본인만이 알 일이다.
필자는 그렇게 이타적이지 못하다. 장애인을 위한 삶을 살 수도 없다.(측은지심 정도는 있지만.)
그리고 사람들의 대부분이 그러 할 것이다.
장애인들의 기득권을 위해 일하고,
직업에 종사하는 진정한 사람들이 있다면 정말로 존경스럽다.
하지만 '장애인을 위하는 척'하며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는 사람들은 사라져야 한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이렇게 말해주고 싶다.
"언제부터 그렇게 장애인들을 위한 삶을 살아오셨어요?"
'개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개발자들이 매트릭스에서 깨어나길 바라며 (0) | 2013.01.16 |
---|---|
개발자와 퍼블리셔를 나누지 마세요! (29) | 2012.12.17 |
서버단? 클라이언트단? (6) | 2012.11.13 |
프론트엔드 개발자에 대한 고찰 (3) | 2012.11.12 |
front-end 개발자 vs back-end 개발자? (2) | 2012.11.08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transform 속성을 이용하면 각종 변환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속성중에 rotate에 대해 알아보자.
transform의 경우 아직 표준화 심사중인 속성으로 벤더 프리픽스가 필요하다. 필자의 경우 크롬브라우저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webkit-을 붙여주었다.
-webkit-transform:
rotateX(각도) ->요소를 X축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각도의 단위는 rad, deg
rotateY(각도) ->요소를 Y축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rotateZ(각도) ->요소를 Z축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rotate3d(a,b,c 각도) -> 요소를 방향벡터 (a,b,c)와 방향이 같은 직선을 축으로 회전시킨다.
'css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E6, IE7에서 display:inline-block 사용하기 (0) | 2012.11.20 |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출처 :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70&MAEULNO=28&No=234
-------------------------------------------------------------------------------
저는 약 10년 전 IT 개발자로 일을 시작했다가 지금은 금융권에 안착하여 홍콩의 금융권에서
일을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IT쪽 일 아닙니다) 어쩌다가 T모사가 윈도 호환 OS를 만든다는
얘기를 듣고 어떻게 되었나 궁금해서 얘기를 추적해 보니 온갖 잡음이 있더군요. 개발과정에서
많은 직원이 이혼을 했다는 얘기도 있고 한데, 의외로 많은 젊은이들, 또는 어린이들이 T모사를
두둔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그래서, 글은 잘 못쓰지만 후배 여러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해서 몇자 적어봅니다. 부디 이 글을 읽고 지금이라도 매트릭스의 노예에서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아래 일부 내용은 존칭은 생략하겠습니다.) 표현이 다소 거친 일부 부분 양해 바랍니다.
운영진 여러분께서 판단하시기에 내용이 문제가 되거나 논쟁이 생기면 삭제해 주실 것을
부탁 드립니다.
간단히 요지는 이렇다. 모 회사의 경영자는 경영을 모르는 자이다. 자사의 초기제품은
M모, O모, S모 사의 제품과 경쟁을 한다. 그런데, 경쟁의 주요포인트는 오로지 가격이다.
벤치마크고 뭐고 일단 가격경쟁으로 market share를 올린다. 나도 약 7년 전에는 이 막장기업과
일정한 사업부문에서 경쟁관계에 있던 또 다른 막장기업의 개발자로 일해 본 적이 있는데,
둘 다 일단 시장경쟁을 후진적인 가격경쟁으로 몰아간다. 기업은 작으니 헐값에 수주를 해도
마치 고속성장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고객사는 늘어가는데 제품에 신경을 안쓰고 팔다 보니 많은 문제가 생긴다. 그러면 개발자들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기저기 고객사를 뛰어다니거나 며칠 밤을 새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개발자들의 원성은 높아지는데, 임금은 올릴 수가 없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코스닥 환상이
직빵이다. "우리회사는 내년에 코스닥 상장을 할꺼야. 그럼 팔자 핀다구" 개발자들은 십중팔구
이 개육갑 떠는 소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병신 중 상병신이다.
왜냐면 여태 포인터가 어쩌구 쓰레드가 어쩌구 하는 것만 배웠고 그게 최고의 기술이며,
이는 여타 종교의 메시아와 같이 어느샌가 남태평양 어디선가 한가한 휴가를 보내는 자신의 환상을
실현시켜 줄 거라는 착각에 빠뜨린다. 자신은 코스닥이 뭔지, 주식이 뭔지, 상장이 뭔지 알 바도 없고,
알 필요도 없다. 경영자란 새끼가 설마 거짓말 하겠어, 좋은 거면 좋은 건가 보다 한다.
후진국의 성장률이 높은 이치와 동일한 이유로 회사는 급성장을 하는 것으로 보이고 또라이 경영자는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한다. 데이터베이스 사업에서 미들웨어 사업, 이젠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사업까지 확장을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개발자들을 고용하기 시작하고, 하지만 애초부터
시장에서 가격경쟁으로 성장한 회사였기 때문에 재무구조의 상태는 그다지 좋지 않은 상태이므로
기업의 겉모습은 성장하는 것 같으나 내부의 개발자의 일상생활을 보면 딱하기 그지 없다.
매일 야근에 주말까지 일을 한다.
데스크탑 시장은 가격경쟁으로 호락호락하게 넘어가는 시장이 아니기에 신규사업 대부분이
시장진출에 실패하고 기존 cash cow 사업의 매출은 여전히 성장하나 이익률은 고꾸라지기 시작한다.
그러다 보면 금고가 비는 것은 순식간이고, 대부분의 기업은 자본만으로 운영되지 않는다. 그렇다.
은행 대출의 만기 연장으로 기업이 돌아가는데, 은행은 기업이 잘 나갈 때는 그 기업을 VIP로
모시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인정사정 없다. 은행이 만기를 연장해주지 않는다는 것은 기업의
현금성재산을 써서 은행에 갚아줘야 하기에 회사 사정이 쪼들린다는 얘기다. 회사에 현금성 자산이
없으니 그 많이 뽑아놓은 개발자들 줄 월급(월급은 현금이다)이 없고, 투자자를 찾아보니 이 상황에
투자할 미친 놈은 없는 거다.
결국 fund raising에 실패를 하면 회사는 부도가 날 수 밖에 없고, 이런 막장기업에 투자할
호구놈들은 죽어라 야근 밖에 모르고 살았던 세상물정 모르는 개발자들이다.
(이 소식을 듣고 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이지만 참 마음이 아팠습니다) 그래서, 개발자들의
피를 빨고 이젠 마지막 최후의 뒤통수까지 친다. 상장 주식도 아니고 비상장 주식을 우리사주라고
꼬시며 액면의 3배를 요구하는 사기를 치려하자 금감원이 이를 말린다. 결국 액면 2배만 받고
휴지나 다름없는 우리사주를 주고 또 다시 회사는 굴러가지만, 회사는 결국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이런 스토리입니다. 제 생각에는 위 얘기를 이해하지 못하는 개발자들이 십중팔구라고 생각합니다.
그 업계를 나오고 나니 얼마나 내가 바보이며 이용 당해왔나 생각이 들더군요. 회사가 무엇이며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 경영자, 투자자, 노동자의 위치가 어떻게 다른 것인지를 가르치지
않는 학교 교육의 문제가 오늘날의 우리나라 이공계의 현실을 불러왔다고 생각합니다.
1. 기업의 소유자는 투자자이다.
2. 기업은 오로지 투자자의 돈을 불려주기 위해 존재한다.
3. 투자자가 기업에 얼마나 돈을 넣었는가에 대한 증명이 주식이다.
학교에서는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기 위한 집단이라 정의하여 많은 혼란을 불러 일으킵니다.
대체 누구의 이윤을 창출한단 말입니까? 여러분이 돈 1억을 들여서 회사를 차렸다고 합시다.
그러면 그 회사는 여러분의 것이 됩니다.
직원을 10명을 뽑았습니다. 그렇다면 직원이 그 회사의 소유를 나눠 가지는 것인가요? 아닙니다.
여러분 입장에서는 그 직원은 컴퓨터나 기계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금액을 먹고 그 이상의 output을
내는 존재에 불과합니다. 그들에게 기업의 소유권은 1%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기업은 누구의 이윤을
창출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투자자, 즉 여러분의 돈, 1억을 불려주기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그 기업을 소유하고 있다는 증서가 주식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친구와 함께 5천만원씩 투자해서 기업을 세웠다고 칩시다. 그러면 그 주식을 두 개로
나눕니다. 만일 여러분이 돈이 필요해서 그 주식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도 그 주식은 누군가의 소유가
되어 여전히 기업의 소유를 증명하게 됩니다.
- 야근은 인건비 절감을 위한 치졸한 수단에 불과하다.
여러분은 야근을 요구 받으면 무슨 생각이 드나요? 아, 내가 이 회사를 위해 열심히 일하면 회사가
알아주겠지 하는 생각에 여자친구와의 저녁약속도 취소하고 열심히 야근을 하겠지요.
야근이 인건비 절감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 생각도 못한 채 말입니다. 원래 여러분은 개발자가 되는
순간부터 사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아침 9시부터 6시까지만" 사용할 수 있는 존재입니다.
물론 그 시간동안에는 절대 다른 짓을 해서도 안되고 회사를 위해서만 일해야 하지만, 그 이외의
시간은 회사가 여러분을 부릴 권리는 없는 것입니다.
선진 외국에서의 야근이란,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첫째, 자신의 업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고,
또한 성과에 따른 보너스를 엄청나게 받는 사람이 자신의 일을 당일 끝내기 위해 자발적으로 하는
야근, 둘째, 업무 효율이 저조하여 당일 해야 할 일을 마치지 못하여 끝내야 하는 경우.
선진 외국에서는 한국과 같은 아무 이유없는, 그렇다고 해서 따로 보너스를 챙겨주지도 않는 야근을
하는 경우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일 여러분을 한 달간 밤샘을 시킨다면? 경영자로서는 두 사람으로 한 달에 해야 할 일 또는
여러분에게 두달 치 월급을 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월급만으로 이 일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됩니다. 또한, 사무실 공간의 리스료 등등도 한 달치가 절약되는 셈이죠. 따라서, 한 달을 밤샘 코딩을
시킨다면 경영자로서는 엄청난 돈을 벌게 되는 것입니다. 개발자는 쌍코피가 터지건 말건 말이죠.
사실상 개발자의 월급은 반토막이 되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 "코스닥에 상장할 거야. 그럼 팔자 핀다구"
코스닥은 뭔지 많이들 들어서 아실 겁니다. 그렇다면 상장은 뭔지 아시나요? 그리고, 상장을 하면
누가 팔자를 피는지 아세요? 코스피 시장이 국내 최대 기업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이라 보면,
코스닥은 이보다는 작은 회사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마이너 리그라고 보시면 됩니다.
- 코스닥에 상장을 하면 왜 돈을 벌고 누가 돈을 버나요?
여러분이 회사를 차렸다고 합시다. 회사가 잘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의 가치가 많이
올라갔습니다. 1억으로 시작한 회사가 1000억의 가치가 되었지만, 그 중 500억을 팔아서 현금으로
가지고 싶다면 여러분이 소유한 기업의 소유증명인 주식이라는 종이를 누군가에게 팔아야 합니다.
보통 시장에서 500억원 어치 주식을 한 번에 살 수 있는 거금을 가지거나 그 큰 거금을 한 회사에
몰아줄 용감한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따라서, 코스닥과 같은 공개 시장에서 팔고 현금을 얻는 것을
할 수 있으려면, 금융협회 등의 인가를 받아 상장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회사를 세우고 그 주식이 상장되기 전에는 private company입니다. 여러분이 그 회사를 마음대로
요리할 수 있는 것이지요. 만일 여러분이 일부 투자자에게 private company 상태에서 투자를 받게
되었습니다. 투자를 받으면 여러분은 그만큼에 해당하는 주식을 내주어야 합니다. 만일 여러분이
어느 회사에 투자한다, 그러면 무엇이 증명으로 쓰일까요?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고 있다는 권리를
증명하는 주식을 받는 것입니다. 따라서, 어느 기업을 코스피 시장이 되었건, 코스닥 시장이 되었건,
상장을 한다면 더 이상은 private company가 아니게 됩니다.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그 회사의
일부분씩을 나눠 갖게 되는 것이니까요. 그것을 우리는 기업공개 또는
IPO(Initial Public Offering)라고 합니다.
즉, 상장 = 기업공개 = IPO 거의 비슷한 말이라 보시면 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식을 공개시장에
상장하게 되면 매매경쟁에 의해 가격이 치솟게 됩니다. (누군가 주식은 피라미드 상품이라 했죠)
그러면, 코스닥에 상장을 하게 되면 직원들에게 돈이 돌아가나요? 아닙니다. 10원도 없죠.
오직 그 주식을 소유한 주주들이 행복해집니다. 소유주식의 가치가 올라가니까요. 다만 예외가
있습니다. 만일 직원이 우리사주를 가지고 있다면? 우리사주도 말만 다를 뿐, 주식이나
마찬가지이므로 우리사주를 가진 직원 역시 행복해집니다. 결국 상장을 하게 되면, 팔자 펴는 것은
개발자 여러분이 아니라 투자자가 직접적으로 팔자가 펴고, 한국은 대부분 투자자와 경영자가
구분이 안되어 있지만, 경영자는 많은 보너스로 팔자가 펴겠죠. 개발자는 약간의 근로 조건이
개선되는 이상의 효과는 없을 것입니다.
회사에서 나중에 우리사주를 줄 거라 합니까? 조만간 스톡옵션을 주겠다고 설레발을 칩니까? 지금
안줄 거면 그딴 소리는 닥치라고 하는게 좋을 것입니다. 주고 싶은 것이었다면 이미 주었어야
하는 것입니다. 왜냐면 스톡옵션의 가치는 상장 이전에는 가치가 있기는 하나 거의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우리사주는 액면가 이상의 의미는 없는 것입니다.
자, 그럼 하고 싶은 이론적 바탕은 대부분 얘기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은 자신의
젊은 나날을 소모하며,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고, 가족관계를 해치면서까지 허무맹랑한
코스닥 환상의 뻘소리에 희생당하실 건가요? 어떤 고등학생으로 보이는 사람의 글이 보이더군요.
"우리나라의 기업이 M모사의 W모와 경쟁할 OS를 만든다면 나는 매일 밤샘작업을 하고 월급이
적더라도 일해보고 싶다." 이 얘기를 다시 해석해보자면, "나는 세상물정 모르는 돌대가리이며
내가 가진 코딩할 수 있는 노동력 및 내 사생활 모두를 투자자에게 헐값에 넘겨주고 싶다"의
뜻입니다.
저는 이 모든 것을 금융권에 들어가고 나서도 한참 지나서야 알았습니다. 왜냐면 뼛속까지 이공계
물이 든 저로서는 학교에서 한 번도 가르쳐 준 적이 없는 것들이기 때문이죠. 사실 우리 교육
바뀌어야 합니다. 주식에 대한 이해가 없고, 상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개발자의 꿈이 왜 허무한
것이며 경영자들은 이를 어떻게 뒤통수 치고 이용해 먹고 있는지에 대해서 모든 개발자가
깨달았으면 합니다.
오늘도 여기 이 글을 쓰려고 들어왔다가 폐를 절제한 IT개발자의 기사를 보고서는 10년이 지나도
그 바닥은 여전하구나란 생각만 듭니다. 매트릭스에서 벗어나 이제는 자신을 추스릴 줄 아는
개발자가 하나라도 더 늘었으면 하는 바람에 쓴 글을 이만 마칩니다.
오늘밤도 사무실에서 밤을 새며 코딩을 하고 있을 많은 개발자들을 위하여...
'개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표준, 웹 접근성은 퍼블리셔의 기득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2) | 2013.02.08 |
---|---|
개발자와 퍼블리셔를 나누지 마세요! (29) | 2012.12.17 |
서버단? 클라이언트단? (6) | 2012.11.13 |
프론트엔드 개발자에 대한 고찰 (3) | 2012.11.12 |
front-end 개발자 vs back-end 개발자? (2) | 2012.11.08 |
RECENT COMMENT